사회생활을 하는 모든 사람은 금융소비자가 됩니다.
회사 규모, 사회적 지위, 경제력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신용등급인데요.
같은 직장, 연봉을 받아도 신용등급 차이에 따라 누릴 수 있는 금융혜택이 다릅니다.
그래서 직장인이 되면 업무능력과 인간관계뿐 아니라 신용등급 관리도 철저히 해야 하는데요.
문제는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가 아니면, 그 동안은 나의 신용등급을 자유자재로 확인하기 어려웠다는 점입니다.
기껏해야 대출을 받을 때 은행직원이 조회해서 알려주는 게 전부인데요.
신용등급을 자주 조회하면 등급이 떨어진다고 하여 신용등급 조회를 안하게 되는 이유였습니다.
그러나 이제는 마음만 먹으면 단 몇 분 만에 나의 신용등급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. 무료이고,
아무리 자주 조회해도 신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조회시간도 빠른데요. 확인방법이 3분이랍니다.
나의 신용등급 즉시 확인 '토스(Toss)'
송금전용 앱 토스가 최근 신용등급 조회 서비스를 내놨습니다.
앱을 내려 받은 뒤받아 전체서비스 - 신용등급 조회를 클릭
본인 인증, 공인인증서를 입력하면 바로 자신의 신용등급과 신용평점, 상위 백분위를 알 수 있습니다.
신용정보 발생내역과 신용정보 조회 내역도 함께 살펴볼 수 있습니다.
또한 <등급별 관리방법>을 클릭하면 등급별 평균 대출금리와 등급 유지 및 상향을 위한 간단한 팁을
알 수 있습니다.
토스 앱은 24시간 자유롭게 조회가 가능하며, 여러 번 조회해도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
신용등급별 대출금액 체크 '사이다'
나의 신용등급 확인과 해당 등급으로 가능한 대출액을 함께 확인하고 싶다면 SBI저축은행이 운영하는 '사이다' 앱을 이용하면 되는데요.
홈 화면 하단의 나의 신용등급/대출한도 조회를 클릭한 뒤 본인인증을 하면 대출가능 금액과 함께 자신의 신용등급, 신용점수가 나타납니다. 단, 본인인증을 하는 과정에서 선택 사항으로 분류되는 '광고성 SMS/이메일 수신'에 체크하지 않도록 주의하시면 됩니다.
전국민 연 3회 무료 신용조회서비스 가능한 2곳
① 카드발급 가능성 진단은 'KCB 올크레딧'
국내 대표 신용평가사인 KCB 올크레딧은 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함께 운영 중입니다.
전국민 누구나 1년에 3회에 한해(4개월에 한 번) 신용등급 무료조회가 가능합니다.
홈페이지 접속 후 <전국민 신용등급 조회> 코너를 클릭한 뒤 본인인증을 하면 바로 등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한 번 조회한 신용등급은 24시간 이내 횟수제한 없이 다시 볼 수 있으며, 비회원 열람도 가능합니다.
모바일 앱에서는 신용조회 차단서비스와 신용등급 변경 알림 서비스, 카드발급 가능성 진단 등을 무료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<신용조회 차단서비스>를 이용하면 타인의 불법 신용조회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으며,
불법 신용정보 조회가 발생하는 즉시 알림을 받습니다.
<변동알람 신청>은 월 2회 무료로 나의 신용평점과 등급의 변동사항 여부를 알려줍니다.
마이페이지 > 회원정보관리 > SMS/이메일 수신설정에서 설정합니다.
현재의 신용상태로 카드발급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<카드발급 가능성 진단> 코너도 운영 중입니다.
② 내 명의 보호하려면 '나이스지키미'
또 다른 국내 신용평가사인 나이스는 홈페이지, 모바일 앱 '나이스지키미' 두 곳에서 무료 신용조회가 가능합니다.
올크레딧과 마찬가지로 전국민 누구나 1년에 3회에 한해(4개월에 한 번 ) 조회할 수 있습니다.
앱에 접속해 <체험하기> - <전국민 신용조회> 메뉴를 선택한 뒤 본인인증을 하면 나의 신용등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<전국민 무료 명의보호> 서비스도 함께 운영 중입니다.
명의도용을 차단하는 동시에 실명확인이나 본인인증 등 의심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SMS와 이메일로 제공해줍니다.
인터넷이용내역과 도용의심내역도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습니다.
자신의 신용등급이 궁금하시다면 지금 한 번 조회해 보세요.
그리고 신용등급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높여보시길 바랍니다.
이상 나의신용등급조회 확인방법 3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농지 연금 80세에도 매달 25만원씩 받아 (0) | 2017.11.21 |
---|---|
공익신고 신고자 포상금 신고 포상금 제도 (0) | 2017.11.16 |
김생민 영수증에서 배우는 GREAT(그레잇) 알뜰 소비 팁 (0) | 2017.09.21 |
2017년 근로, 자녀장려금 지급 신청 및 지급액 (0) | 2017.09.20 |
비상금통장 아세요? 비상금통장 만들기 (0) | 2017.09.13 |